반응형
파이썬 함수는 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사용성을 높이는 핵심 개념입니다.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수의 기본 개념부터 작성법, 매개변수, 반환값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실전에서 유용한 예제들을 통해 함수의 활용 방법을 익혀봅니다.
함수란 무엇인가?
프로그래밍에서 함수(Function)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입니다. 함수를 사용하면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합니다.
def hello():
print("안녕하세요!")
위 코드는 hello()
라는 함수를 정의하고, 실행하면 "안녕하세요!"를 출력합니다.
파이썬 함수의 기본 구조
파이썬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실행할 코드
return 반환값
예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def add(a, b):
return a + b
result = add(3, 5)
print(result) # 8 출력
매개변수와 인자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가 실행될 때 전달받는 값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입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 매개변수 예제
def greet(name):
print(f"안녕하세요, {name}님!")
greet("철수") # 안녕하세요, 철수님! 출력
기본값 설정 (Default Parameter)
def greet(name="친구"):
print(f"안녕하세요, {name}님!")
greet() # 안녕하세요, 친구님! 출력
greet("영희") # 안녕하세요, 영희님! 출력
키워드 인자 (Keyword Argument)
def introduce(name, age):
print(f"이름: {name}, 나이: {age}")
introduce(age=25, name="지훈") # 이름: 지훈, 나이: 25 출력
가변 인자 (*args)
def sum_all(*numbers):
return sum(numbers)
print(sum_all(1, 2, 3, 4, 5)) # 15 출력
키워드 가변 인자 (**kwargs)
def print_info(**info):
for key, value in info.items():
print(f"{key}: {value}")
print_info(name="민수", age=30, city="서울")
반환값 (Return) 이해하기
함수는 return
키워드를 사용해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def square(num):
return num * num
print(square(4)) # 16 출력
여러 개의 값 반환하기
def calc(a, b):
return a + b, a - b, a * b, a / b
result = calc(10, 5)
print(result) # (15, 5, 50, 2.0) 출력
실전 예제: 다양한 함수 활용
리스트에서 최댓값과 최솟값 찾기
def find_max_min(numbers):
return max(numbers), min(numbers)
nums = [3, 7, 2, 8, 5]
print(find_max_min(nums)) # (8, 2) 출력
팩토리얼 함수 만들기
def factorial(n):
if n == 1:
return 1
return n * factorial(n - 1)
print(factorial(5)) # 120 출력
피보나치 수열 생성
def fibonacci(n):
if n <= 1:
return n
return fibonacci(n - 1) + fibonacci(n - 2)
print(fibonacci(10)) # 55 출력
결론
파이썬 함수는 프로그래밍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고 유지보수를 쉽게 해줍니다. 기본 개념을 익히고 다양한 실전 예제를 연습하면 파이썬을 더 능숙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함수의 다양한 활용법을 이해하고 직접 만들어 보면서 실력을 키워보세요!
반응형